소개

연혁

사업추진 경과

  •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은 1995년 ATM 기반의 선도시험망으로 출발하여, ATM 장비 및 응용기술의 시험 검증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IT 산업에 이바지해 왔으며, 2001년부터는 IP 네트워크 기반의 초고속선도망으로 전환하여 차세대인터넷 기술과 기상, 의료, 물리 등 응용분야 연구를 지원하였습니다.
  • 2004년 이후 유선, 무선, 음성, 데이터 등 컨버전스 기술 중심의 광대역통합연구개발망을 거쳐, 2011년 부터는 미래 네트워크 기술의 연구시험 검증 기능을 강화한 미래 네트워크 선도시험망을 구축함으로써 연구기관 및 산업체 참여가 자유로운 개방형 네트워크 테스트베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  • 특히 2008년부터는 국제연구망인 APII, TEIN 구축 운영사업이 NIA로 이관됨에 따라 KOREN 사업에 통합 운영되었으며, 2013년에는 APII와 TEIN 망 모두 10G로 증속하여 연동하였었고, 2012년에는 미래 네트워크기술 중 하나인 Open Flow testbed를 구축하여 일본과 미국으로 테스트하였습니다.
  • 2017년 제2판교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 내에 AI Network Lab 개소 및 공공 안전망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시험환경을 구축하였으며, 2018년 SDI 기반 지능형 최첨단 선도 연구시험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하여, IP/T-SDN, NFV, Public Cloud 구축 및 SDI사용자 포털을 Open하였고, 이용기관의 100%를 SDI로 전환수용하여 미래네트워크 선도시험망 구축운영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 하였습니다.
  • 2020년 부터는 자율형 네트워크 기반의 초연결 지능망으로 진화하기 위한 Beyond 5G, 양자정보통신 연계 및 테라급 전송장비 구축 등 SDx 기반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을 구축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.

연도별 사업추진 경과

연도별 사업 추진 경과. 초고속정보 통신만(선도시험망) : 1995년 초고속 국가망, 2001년 초고속 인터넷망. 광대역 통합망(선도시험망) : 2004년 광대역 통합망 유무선 통합망을 위한 BcN 연구개발망, 2011년 미래네트워크 신기술 및 응용분야를 위한 글로벌 연구시험망.
미래네트워크(선도시험망) : 2017년 S/W 기반 네트워크 지능화된 SW 기반 네트워크, - SD(SDN/NFV, Cloud 등) 기능적용 및 실증, - 초실감형 미디어(UHD,홀로글매), 빅데이터, IoT 5G 할솽화. 초연결 지능형(연구개발망) : 초연결 지능형(연구개발망) : 2020년 초고속 인공지능망, - SDX로 진화, - 테라급 전송장비 구축, -양자정보통신 연계, - 자율형 네트워크, - 시험ㆍ실증 인프라지원
Date
  • 2023
  • 2022
  • 2021
  • 2020
  • 2019
  • 2018
  • 2017
  • 2016
  • 2015
  • 2014
  • 2013
  • 2012
  • 2011
  • 2010
  • 2009 ~ 2000
  • 1999 ~ 1995
  • KOREN
      • KOREN 데이터 레이크 포탈 오픈 - 1월
      • KOREN AI기반 자율형네트워크 시스템 고도화
      • KOREN 데이터 레이크 포탈 구축 (AI학습용 데이터셋 공개서비스) - 11월
      • 초성능 자율 지능형 연구시험 선도 시험망으로 고도화 계획 수립
      • KOREN망 기반 5G오픈테스트베드 백본망 구성
        (서울/판교/대전/대구/광주)
      • KOREN AI기반 자율형네트워크 시스템 구축
      • KOREN 데이터레이크 구축
      • 초연결 지능형연구개발망(KOREN) 인증체계 수립
      •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연동
      • KOREN 시험회선(Dirk Fiber)을 활용한 양자암호통신 시험망구성
        (서울/판교/대전/광주/부산 등)
      • KOREN 전국PoP 전송망(RoADM) 노후장비 교체
      • KOREN 인터넷망 노드 분리(서울/대전)
      • IP-SDN 장비 재구성 및 100G노드추가(광주/부산/대구)
      • KOREN 자율형네트워크 추진체계마련
      • KT 공공클라우드 연동
      •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으로 KOREN 고도화 사업 추진
      • 홍콩/싱가폴 접속점 100G 연동 - 3월
        (한국-홍콩/한국-싱가폴 구성)
      • NB-IoT 무선망 테스트베드 구축 - 10월
        (판교 AI Network Lab에 코어망, 액세스망 구축)
      • 재난안전통신망 테스트베드 구축(NIA서울 차폐룸) - 11월
      • 공공와이파이 통합관리센터 조성(판교 AI Network Lab) - 11월
      • NFV(vFW,vNAT,vDHCP)서비스 개시 - 12월
      • 이용기관 100% SDN으로 전환 수용 - 12월
      • SDI망 사용자 대상 포털 개시
      • SW중심 국내망 10개노드 고도화 (수도권 100G 수용)
      • 이용기관 70% SDN으로 전환 수용
      • 서울-판교간 POTN/ROADN 양자암호통신 실증
      • AI Network Lab 구축 운영
      • LPWA 신호분석 테스트베드 구축 - 10월
      • S기관 20% SDN으로 전환 수용
      • SW중심 국내망 1차 고도화
      • 공공안전망(PS-LTE) 테스트베드 구축
      • 춘천 Sub접속점 증속(10G) - 8월
      • 전주 접속점 개통(10G) - 8월
      • 판교 접속점 구축(10G) - 9월
      • 대구(NIA) ROADM 구축(기존 동대구 KT) - 9월
      • POTN 100G 시험망 구축 - 9월
      • LoRa 서비스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- 10월
      • 춘천 Sub접속점 개통(1G) - 1월
      • 홍콩/싱가폴 접속점 개통(10G) - 4월
      • (한국-홍콩-싱가폴 구성)
      • 통신사 LoRa 시험망 구축 - 11월
      • KOREN FNC 구축
      • KOREN 서울-대전 100G 네트워크 구축
      • KOREN 무선망 구축(LTE)
      • E-TEIN 5개국 Traning workshop행사 관련 연동시험
      • 한국- 일본 Openflow 연동 테스트
      • ETRI-ONA,KCA(M2M)Testbed 연동
      • 미국-일본-한국간 DCN연동 시험
      • 네트워크 연구시험환경 조성 - 2009
      • KOREN과 국제연구망(APII, TEIN) 통합 구축 운영 - 2008
      • 모바일 테스트베드 시범구축 - 2007
      • IT839정책, u-R&D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- 2006
      • 공용접속시험센터 구축(6개소) - 2005
      • 미래네트워크 연구 시험망 구축계획 수립(BcN계획) - 2004
      • 서울-수원, 대전-광주-부산-대구 2.5G 구성 - 2003
      • 6개 대도시 IP망 구축, 서울-대전 20G - 2002
      • 초고속선도망 구축계획 수립 - 2001
      • IPv6, QoS, 멀티캐스트 등 네트워크 신기술 적용 - 2000
      • 노드 확대 (광주,부산,대구,수원) - 1999
      • 선도시험망 네트워크운용센터 설립 - 1998
      • ATM 시범망 개통 - 1997
      • ATM교환기 시제품 설치, 시험 - 1996
      • 선도시험망 사업계획 수립, 서울-대전 광전송망 개통 - 1995
  • 국제연구망 협력
      •  
      •  
      •  
      • 2월 - KOREN 국제망 재구성
      • (한국-홍콩-싱가폴 단방향 100G에서 한국-홍콩/한국-싱가폴 양방향 100G, 유럽/미국향)
      • 2월 - TEIN 홍콩-싱가폴 10G 회선비 지원 철회
      • KOREN 국제망 고도화(10G → 100G, 홍콩-싱가폴 JGN/TEIN 활용)
      • 3월 - 홍콩PoP TEIN/JGN/HKIX 100G 직접연결
      • 3월 - 싱가폴PoP TEIN 100G, JGN/SOE 10G 직접연결
      • 홍콩PoP HKIX를 통해 HARNET/PREGINET/KREONET 연동
      • 6월 - 싱가폴PoP KOREN-TEIN 1G → 10G 증속
      • 9월 - 홍콩PoP ASGC 연동해
      • TEIN4 →Asi@Connect 사업 시작
      • 홍콩PoP HKIX를 통해 HARNET/PREGINET/ASGC 연동
      • 싱가폴PoP SOE를 통해 internet2 연동
      • 판교 FNC의 LTE 코어망과 대전 ETRI,
        구미 GERI의 액세스망 시스템 연동
      • 3월 - 한-일 APII 종료
      • 4월 - 한-일 APII 홍콩 HKIX를통해 재개통
      • TEIN 홍-싱 10G 회선구축
      • 홍콩PoP TEIN/HKIX 10G 직접연결
      • 싱가폴PoP TEIN 1G/SOE 10G 직접연결
      • 판교 접속점에 LoRa AP 구축, 운영
      •  
      • TEIN3 → TEIN4 사업 변경, 증속(10G)
      •  
      • TEIN협력센터 국내설립
      • KOREN-KREONET 20G 연동
      • 2009 - KOREN-KREONET 20G 연동
      • 2008 - TEIN2 → TEIN3 사업 변경, 증속(2.5G)
      • 2007 - 한-중 APII 종료(’07.9월)
      • 2006 - TEIN → TEIN2 사업 변경, 증속(622M)
      • 2005 - 한-일 APII 증속(10G)
      • 2004 - 한-중 APII 개통(155M)
      • 2001 - 한-미 APII 개통(’05 종료), 한-불 TEIN 개통
      • 2000 - 제3차 ASEM 정상회의 : TEIN 승인
      • 1999 - 한-싱 APII 개통(’04 종료)
      • 1998 - 한-일 APII 개통

      • 1996 - APIICC 설립(한국)
      • 1995 - 제1차 APEC TEL : APII 승인